
사진과 영상에서 꼭 필요한 보정 중 하나인 감각적인 색상 보정 방법 (Premiere Lumetri Color)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. 주로 색 보정은 편집을 완료한 후 마감을 할 때, 전체적인 느낌의 색상 톤을 맞춰주거나 특정 부분의 색을 조정하고 싶을 경우 많이 사용합니다. 생각보다 쉬운 것 같지만, 자칫하면 너무 강렬하고 부담스러운 톤이 될 수도 있고 칙칙한 톤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. 그래서 이번에는 구체적으로 감각적이게 색상을 보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. 애프터 이펙트 및 프리미어에도 많이 사용하는 Lumetri Color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 영상편집 후 색상 보정은 프리미어에서 많이 하는 경우가 많아, 프리미어를 통해 설명드리겠습니다.
Lumetri Color (루미트리 컬러)
영상의 세부적인 색상값을 조절할 수 있는 유용한 기능입니다. 톤, 채도, 명도 등 여러 값을 통해 자신만의 감각적인 색감을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이기도 합니다.
Lumetri Color 기능 살펴보기

- Basic Correction (기본적인 명도, 채도, 대비 등을 통해 전체적인 색감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.)
- Creative (여러 색상 및 필름효과로 자신만의 영상 느낌을 연출할 수 있습니다.)
- Curves (전체적인 RGB 및 채도에 관한 밝기와 대비값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.)
- Color Wheels & Match (특정한 색의 값을 조절해서 색보정을 할 수 있습니다.)
- HSL Secondary (특정 색상에 대한 채도와 명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.)
- Vignette (모서리가 어두워지는 비네팅의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.)
Lumetri Color - Basic Correction 기능 살펴보기

Temperature (온도) - 영상 색상에 첨가할 색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. (파란 or 주황 계열의 색온도를 첨가할 수 있습니다.)
Tint (엷은 빛깔) - 색채를 배합할 수 있습니다. (초록 or 분홍 계열의 색을 배합할 수 있습니다.)
Saturation (채도) - 색의 진하고 옅은 정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.
Exposure (노출) - 영상에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. 값이 높을 수록 빛의 양이 많아 지며, 낮을수록 빛의 양이 줄어들어 영상 전체가 어두워지게 됩니다.
Contrast (대비) - 영상의 밝고 어두운 면의 차이를 주어서 선명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.
Highlights (하이라이트) - 제일 밝은 부분을 값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.
Shadows (그림자) - 어두운 부분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.
White (흰색) - 흰색 부분의 영역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.
Blacks (검정) - 검은색 부분의 영역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.
Lumetri Color - Creative 기능 살펴보기

Look (룩, 보다) - 여러가지의 필터 기능처럼 영상에 느낌을 연출할 수 있습니다. 화살표 아이콘을 클릭하여 여러 가지 필터의 모습을 미리 보면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.
Intensity (강도, 세기) - Look으로 적용한 필터의 느낌 세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.
Faded Film (희미한 필름 효과) - 빛바랜 필름의 느낌을 줄 수 있는 기능입니다. 인스타 및 여행, 추억관련 느낌을 연출하는데 효과적인 기능입니다.
Sharpen (선명함) - 영상의 선명하게 만들어주는 기능입니다. 너무 수치를 높이면 날카로워질 수 있습니다.
Vibrance (색상 계조 조절) - 전체적인 색의 채도를 그라데이션처럼 풍성하게 많이 만들어주는 효과입니다.
Saturation (채도 조절) - 채도를 올려주는 기능입니다.
Shadow Tint (그림자 혼합) - 그림자 부분에 색을 혼합하는 기능입니다.
Highlight Tint (하이라이트 혼합) - 제일 밝은 부분에 색을 추가하여 혼합해주는 기능입니다.
Tint Balance (혼합 균형) - 색채를 혼합 부분의 비율 등을 균형있게 조절하여 줍니다.
Lumetri Color - Curves 기능 살펴보기

RGB Curves (RGB 곡선) - 전체적인 사진의 밝기와 대비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. 그리고 각 Red, Blue, Green의 색 분포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.

Hue vs Sat (색상 vs 채도) - 수평에 있는 특정 색상의 채도를 수직의 그래프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.
Hue vs Hue (색상 vs 색상) - 수평의 특정 색을 수직의 색의 값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.
Hue vs Luma (색상 vs 루마) - 수평의 특정 색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.
*Luma (루마) 란? - brightness or shade of the HUE라는 의미입니다. 즉, Hue (색상)의 밝기를 나타냅니다.

Luma vs Sat (루마 vs 채도) - 전체의 색상의 밝기와 채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.
Sat vs Sat (채도 vs 채도) - 전체적인 채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. 채도를 한 번 더 강하게 올리고 싶을 경우 사용합니다.
Lumetri Color - Color Wheels & Match 기능 살펴보기

Shadows (어둠, 그늘) : 가장 어두운 영역의 톤을 원하는 색상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.
Midtones (중간톤) : 중간 영역의 톤을 원하는 색상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.
Highlights (하이라이트, 가장 밝은 부분) : 가장 밝은 영역의 톤을 원하는 색상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.
Lumetri Color - HSL 기능 살펴보기
HSL은 주로 전체적인 색상보정이 마무리된 다음, 특정 색상을 변경하기 위한 용도로 많이 사용합니다.

Set Color (HSL) - 자신이 변경할 특정 대상 색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.
스포이트 또는 밑의 세팅된 색을 선택해서 H (Hue : 색상) / S (Satyration : 채도) / L (Light : 밝기)를 설정하여 특정 색의 범위도 함께 설정할 수 있습니다.
Refine (다듬기 기능 - Denoise, Blur)
Denoise (노이즈 제거) - 위에서 특정한 색상을 선택한 후 남아있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입니다. 전체적인 이미지의 색상을 균일하게 조정해줍니다.
Blur (흐림, 블러효과) - 특정 색상을 남긴 후 가장자리를 부드럽게 블러처럼 처리합니다.
Correction (교정 기능 - Temperature, Tint, Contrast, Sharpen, Saturation)
Temperature (색온도) - 수치가 높을수록 전체적인 색감이 따뜻해지며, 낮을수록 차가운 색감을 줄 수 있습니다.
Tint (색조) - 명도와 채도의 조합을 색조라고 합니다. 여기서 틴트는 색을 오버라이드 해서 겹쳐주는 기능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 핑크색과 초록색을 위에 얻혀서 투명도 있게 혼합하는 기능입니다.
Contrast (대비) - 색의 밝고 어둠의 강도 차이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.
Sharpen (선명) - 색의 선명도를 올려서 더 또렷하게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.
Saturation (채도) - 색의 탁하고 맑은 정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.
Lumetri Color - Vignette 기능 살펴보기
Vignette (비네팅)은 주변의 외곽 모서리를 어둡게 처리하는 효과입니다.

Amount (양) - 주변 외곽 모서리를 어둡게 하는 양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.
Midpoint (중간지점) - 어둡게 처리되는 모서리의 중간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.
Roundness (둥글둥글함) - 어둡게 처리되는 모서리 부분을 둥글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.
Feather (털, 깃털) - 블러 효과와 비슷하게 어둡게 처리되는 그림자 부분을 부드럽게 해주는 기능입니다.
감각적인 색상 보정 방법 (Premiere Lumetri Color)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 각 기능에 따라서 색상 및 톤은 매우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. 자신이 원하는 느낌의 사진과 영상으로 감각을 마음껏 표현해보시기를 바랍니다.
'프리미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영상 촬영 용어 정리 (Video shooting terminology theorem) (0) | 2023.01.09 |
---|---|
영상에 검은 줄이 생기는 이유? 플리커 현상, 슬로 모션 (Flicker / Slow motion) (0) | 2022.12.13 |
프리미어 프로 잔물결 삭제가 안될 때 (Premiere Ripple Delete Error) (1) | 2022.10.11 |
프리미어 프로 단축키 모음 (Premiere Keyboard Shortcut) (0) | 2022.10.04 |
프리미어 프로 시퀀스란? (Premiere Pro Sequence) (0) | 2022.09.26 |